[뉴스초점] 일본, 한미일 회견 불참…삼각공조 영향은?<br />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차관협의를 계기로 예정됐던 3국 외교차관들의 공동회견이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김창룡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을 일본 측이 문제 삼으며 불참을 통보한 건데요.<br /><br />계속되는 한일 갈등으로 한미일 3각 공조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와 함께 외교 전망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일본이 독도로 억지주장을 하며 몽니를 부린 건 하루이틀 일이 아니지만, 이번엔 한·미·일 공동회견에까지 찬물을 끼얹었습니다. 일본 측에선 기자회견을 무산시킨 것이 한국과 미국을 배려한 조치라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 일본의 이런 태도,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은 2009년에도 있었지만, 그 당시에는 한일 간 외교 이슈로 부상하지 않았거든요. 그런데 일본이 이번에 이렇게 국제외교 무대에서 외교결례를 감수하면서까지 독도 문제를 들고 나왔고, 그것도 우방국인 미국이 주최한 자리에서 일방적인 통보를 한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에요?<br /><br /> 청와대에서는 일본의 불참을 "매우 이례적"이라고 말하며, 독도는 우리 영토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. 이 가운데 서욱 국방장관이 어제(18일) 울릉도를 방문해 군사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했는데요. 이런 상황 속에 당분간 양국 갈등의 해법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여요?<br /><br /> 일본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공동기자회견은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의 단독회견으로 변경됐습니다. 한미일 3각 공조를 꾸준히 강조하면서 한일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려고 했던 미국 입장에서는 상당히 머쓱한 상황이 됐어요?<br /><br /> 홀로 회견장에 선 셔먼 부장관은 "한국과 일본 사이에 계속 해결돼야 할 일부 양자 간 이견이 있었다"고 말했는데요. 양국 갈등 중재가 아닌 단독 기자회견을 택했고, 이유를 둘러대는 대신 한일 양국 간 문제라는 점을 그대로 공개했는데 이것도 어떤 외교적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그런데 공동회견이 무산된 두 열린 미일 외교차관 회담에서 "한미일 3국의 협력 중요성을 재확인했다"고 밝혔거든요. 앞뒤가 안 맞는 모양새가 됐는데, 이렇게 3각 공조를 강조하더라도 한일 갈등으로 결국 공조에도 균열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?<br /><br /> 한일 관계가 복잡한 가운데 미중 관계도 꼬여가는 분위기입니다. 오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예정된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'외교적 보이콧'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 이 외교적 보이콧이라는 게 어떤 것이고, 어떤 의도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 우리 정부는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3년 전 평창올림픽처럼 남북, 북미 관계 개선의 모멘텀으로 삼으려고 했는데요. 이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